전체 활동 설명
소개
학생들에게 달에 있는 충돌 분화구 사진을 보여주고 충돌 분화구가 무엇인지와 충돌 분화구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물어본다.
수업에서 유성/운석에 대해서 논의하고 학생들에게 별똥별을 본적 있는지 물어본다. 학생들에게 별똥별의 기원이 혜성과 소행성임을 알려준다. 학생들에게 1954년에 Peekskil 유성이 자동차에 손상을 입히고 Ann Hodges에게 지속적인 장애를 입게 한 사진들을 보여준다. 이 예시의 운석은 아주 작은 크기이지만 운석이 클수록 더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음에 대해서 설명한다. 학생들에게 퉁구스카강 사건에 대한 사진을 보여주고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에 의해 발생한 엄청나게 큰 피해에 대해서 설명한다. Chicxulub 충돌 분화구와 공룡 멸종에 대해서 토론한다.
학생들에게 Arizona의 운석 충돌 분화구 영상을 보여준다.
https://www.youtube.com/watch?v=odGrgsLkfUQ
만약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다면 학생들에게 충돌 분화구 형성의 세 가지 단계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어라: 압축, 발굴, 마지막 단계. 그렇지 않다면 운석 아래쪽 충격이 물질들을 밀어내기 때문에 충돌 분화구가 형성됨을 설명한다.
충돌 분화구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요인이 가진 영향이 무엇인지 학생들의 생각을 묻는다.
실험 1 – 질량
첫 번째 실험에서 학생들은 운석의 질량이 충돌 분화구의 크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다음의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1) 용기의 깊이가 약 10cm 정도 되도록 모래를 채운다.
2) 모래의 표면을 평평하게 다진다.
3) 용기 옆에 스탠드를 사용해서 미터 단위 자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거나 혹은 용기 옆에 수직으로 붙인다.
4) 저울로 돌들의 무게를 정확하게 잰다.
5) 첫 번째 돌을 30cm 높이에서 떨어뜨린다.
6) 충돌 분화구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모래 속에서 해당 돌을 조심스레 빼낸다.
7) 충돌 분화구의 지름을 재고 이를 기록한다.
8) 다시 모래를 평평하게 다진다.
9) 이와 같은 과정을 다른 돌을 이용해서 5 ~ 8회 진행한다.
10) X축에 돌의 질량, Y축에 충돌 분화구의 크기에 대한 그래프를 그린다.
수업 난이도에 따라 초기 준비 과정(용기에 모래를 채우는 것 등)은 수업 시작에 앞서 선생님이 미리 해두어야 할 수도 있다. 만약 학생들의 수준이 적절하다면 자료를 다시 측정하거나 평균을 내거나 그래프에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만약 학생들의 수준이 그래프를 작성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돌이 클수록 더 큰 충돌 분화구를 만든다는 단순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험 2 – 떨어뜨리는 높이
학생들은 떨어뜨리는 높이가 어떻게 충돌 분화구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조사할 것이다. 떨어뜨리는 높이가 충격 속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더 높은 곳에서 돌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실험으로부터 학생들은 더 빠르게 움직이는 운석의 영향을 알 게 될 것이다. 학생들은 다음의 과정을 진행한다.
1) 모래를 편평하게 다진다.
2) 가장 작은(20g) 돌을 10cm 높이에서 떨어뜨린다.
3) 돌을 조심스럽게 빼내고 충돌 분화구의 지름을 측정한다.
4) 떨어뜨리는 높이를 늘리면서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10cm씩 늘려 1m까지 높이지만 이 조건은 바뀔 수 있다.).
5) X축에 떨어뜨리는 높이, Y축에 충돌 분화구의 크기에 대한 그래프를 그린다.
학생들의 이해도에 따라 자료를 다시 측정하거나 그래프에 오차 범위를 나타내는 활동을 한다. 만약 학생들이 등가속도 운동(SUVAT 방정식) 방정식을 이해한다면 충돌 분화구의 크기에 대한 물체의 속력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활동도 할 수 있다.
결과 사용하기
실험 1에서 학생들이 돌을 떨어뜨린 것과 동일한 높이에서 약 80g의 돌을 떨어뜨리고 충돌 분화구의 크기를 측정한다. 학생들은 이 돌의 질량을 알아내는데 자신의 그래프를 사용한다. – 이 활동은 경쟁 문제로 바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