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우주 사진들에서 볼 수 있는 현상들에 대해서 배운다.
- 독창적인 음악을 만들기 위한 토대로 우주 사진을 사용한다.
- 학생들이 과학 과목과 음악 과목 사이의 연결고리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 학생들의 음악적 즉흥 연주 기술을 발달시킨다.
학습 목표
- 학생들은 우주 사진에서 볼 수 있는 현상들에 대해서 묘사할 수 있다.
- 학생들은 짧은 음악을 작곡하기 위해서 우주 사진을 해석할 것이다.
- 학생들은 즉흥 연주를 할 수 있고 자신이 해당 사진을 어떻게 해석했는지 묘사할 수 있다.
평가
- 학생들은 짧은(15 ~ 30초) 즉흥 연주를 만들어 낼 수 있는가? (예/아니오)
-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한 사진과 즉흥 연주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 (예/아니오)
- 학생들의 설명은 자신들이 선택한 사진의 천문학적 배경 지식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가? (예/아니오)
- 만약 이 활동이 반복된다면 학생들은 좀 더 복잡하거나 긴 즉흥 연주를 만들 수 있는가? (예/아니오)
- 만약 이 활동이 반복된다면 학생들은 좀 더 자신감을 가지게 될 것인가? (예/아니오)
이 활동에서는 동료 평가도 수행할 수 있다. 이 활동 말미에 학생들은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천문 현상을 가장 잘 나타낸 즉흥 연주에 대해서 투표할 수 있다.
이 활동은 창작 활동임이 강조되어야 한다. 각 학생은 과학적 개념을 음악으로 나타내는데 자신만의 방법을 사용해야한다. 학생들이 서로의 활동을 평가할 때 선생님은 다양성을 권장해야 한다. 학생들이 즉흥 연주를 창작하기 위해서 천문 개념을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해 전반적인 설명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점이다.
준비물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우주 사진은 제시된 추가 정보 안의 링크를 참조해라.
- 사진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예: 컴퓨터, LCD 프로젝터나 스크린)을 준비한다. 컴퓨터나 프로젝터가 없다면 학생들에게 사진을 인쇄해서 줄 수 있다.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악기들, 예를 들어 드럼을 포함하여 바이올린, 플루트, 트럼펫 혹은 피아노 같은 오케스트라 악기들을 준비한다. 드럼 혹은 다른 타악기(예: 탬버린, 심벌즈, 셰이커)는 음악적인 배경지식이 조금 있거나 거의 없는 학생들에게 특히 유용하다.